F7 (엔진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F7 엔진은 일본 IHI가 개발한 고 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으로, 주로 가와사키 P-1 해상초계기에 사용된다. 1998년 개발을 시작하여, XF5-1 엔진을 기반으로 연비 절감 및 저소음을 목표로 설계되었다. XF7-10 PFRT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진행되었으며, 2004년 P-1 초계기 엔진으로 공식 채택되었다. 2010년 양산형 설계가 완료되었으며, 2013년 연료 분사 밸브 문제로 엔진 정지 문제가 발생했으나, 제어 프로그램 개수를 통해 해결했다. F7 엔진은 이륙 시 약 60kN의 추력을 가지며, 연비 절감과 환경 보호를 위해 설계되었다. 2016년에는 JAXA에 판매하기 위한 민간 전환 계약이 체결되어, 엔진 기술 실증에 활용될 예정이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F7 (엔진) |
---|
2. 개발
IHI는 1998년, 저 바이패스비 엔진인 XF5-1을 기반으로 고 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 개발을 시작했다. 첫 번째 프로토타입 XF7-1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시험을 거쳤고, 비행 시험용 XF7-10의 시험은 2002년에 시작되었다.[1]
XF7-10의 PFRT(예비 비행 평가 시험)는 2002년 2분기에 시작되어 2007년 8월에 완료되었다. PFRT는 군사 규격 MIL-E-5007D와 FADEC 시스템에 대한 표준을 기반으로 진행되었다.[2] 2004년 10월 28일, XF7-10은 P-1 초계기의 엔진으로 공식 채택되었고, 같은 해 11월부터 12월까지 C-1FTB를 이용하여 XF7-10 엔진의 비행 시험이 실시되었다.
2007년 2월, 다이키 정 다목적 항공 공원에서 환경 빙결 시험이 실시되었고,[12] 같은 해 8월 PFRT가 완료되었다. 소방 연구 센터에서 국내 최초의 내화 시험이 실시되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.[13] 같은 해 9월부터 10월에 걸쳐 미국 공군 아놀드 기술 개발 센터에서 고공 시험이 실시되었으며,[14][15] 기존 엔진보다 약 10%의 연료 소비 절감을 확인했다.[16] 2010년, 양산형 설계가 완료되어 제조가 시작되었다.
F7 엔진은 P-1 초계기의 엔진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. 프랫 & 휘트니의 JT8D-9, GE의 CF34-8E, 롤스로이스의 BR700 정도만이 동급의 엔진으로 존재하여 선택지가 적었기 때문에 국내 개발이 결정되었다.
F7-10의 이륙 추력은 60kN, 바이패스비는 8.2, 연료 소모율은 0.34 kg/h/daN이다.[3] 배기 가스 배출량은 ICAO의 표준을 충족하며, NOx는 54%, CO는 33%, UHC는 0.5%, 매연은 표준이 100%일 때 74%이다.[4] 염분 환경에서 높은 내식성을 위해 강한 합금 재료를 선택했으며, 흡음 패널을 장착했다.[5] 소음 수준은 P-3의 T56보다 5~10dB 낮으며, 측정 결과는 공회전 시 76 dB, 이륙 시 70.6 dB이다.[6] P-1의 F7-10에는 추력 반전 장치가 GE의 카울 개방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었다.[7]
2. 1. 문제점 및 해결
2007년 6월 7일, 지상 내구 시험 중 엔진 내부 베어링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했다. 이 문제는 베어링 유지기 형상을 변경하여 해결되었다.[17]2013년 5월 13일, 고도 약 10,000m에서 약 8,000m로 급강하 후 엔진 출력을 급격히 낮추면서 비행 자세를 회복했을 때, 연소가 불안정해지면서 모든 엔진이 정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.
2013년 9월 27일, 이 문제는 양산을 위해 연료 분사 밸브를 두껍게 하는 설계 변경이 원인이었다.[17]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연료 유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, 10월 23일 비행을 재개했다.
3. 특징
F7-10 엔진은 XF5-1 저바이패스비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된 고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이다. 1998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2002년에 비행 시험을 시작했다.[1] 이륙 추력은 60kN이며, 바이패스비는 8.2로, 연료 소모율은 0.34 kg/h/daN이다.[3] 높은 바이패스비는 연비 효율을 높이고 소음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.
ICAO의 표준을 충족하는 배기 가스 배출량을 달성했으며, NOx는 표준 대비 54%, CO는 33%, UHC는 0.5%, 매연은 74% 수준이다.[4] 이는 터빈 입구 온도를 1,600℃에서 1,550℃로 낮춘 결과이다.[21]
염해 환경에서의 내식성을 위해 강한 합금 재료(티타늄 합금, 니켈 합금, 알루미늄 합금)를 사용하고, 흡음 패널을 장착하여 소음을 줄였다.[5] 소음 수준은 P-3의 T56보다 5~10dB 낮다.[6]
P-1에 탑재된 F7-10 엔진은 4개의 엔진 중 안쪽 2개에 GE의 카울 개방 시스템을 이용한 추력 반전 장치를 갖추고 있어 이착륙 성능을 향상시켰다.[7]
3. 1. 제원 (F7-10)
형식 | 높은 바이패스비 2축 터보팬 엔진 |
---|---|
길이 | 2.7m |
직경 | 1.4m (엔진 입 구경) |
건조 중량 | 1240kg |
압축기 | 팬 1개, 10단 (저압 2단, 고압 8단) 축류 압축기 |
연소기 | 아뉴라 형 |
터빈 | 2단 저압, 4단 고압 터빈 |
엔진 추력 | 60kN |
바이패스 비 | 8.2:1 |
터빈 입구 온도 | 1550°C |
정격 연료 유량 | 0.34kg / hr / daN[3] |
추력 중량비 | 4.9:1 |
4. 일본 IHI사의 군용기용 엔진
5. 민간 전환
2016년 12월 14일, 방위 장비청과 IHI는 JAXA에 F7 엔진을 판매하기 위한 민간 전환 계약을 체결하고, 엔진 도입 준비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[22]。 JAXA는 이 엔진을 활용하여 요소 기술 연구 성과를 실증할 계획이며, 실제 엔진 내부 모듈을 빈번하게 교체하며 시험할 예정이다. 기술 노하우가 공개되지 않은 해외 엔진은 이러한 시험에 적합하지 않아 F7 엔진이 도입되었다[23]。 이 실증 성과는 방위성에 피드백되어 F7 엔진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[24]。 JAXA는 2019년에 F7 엔진을 도입하고, 저 NOx 린번 연소기 기술을 엔진 시스템으로 실증하여 2023년 이후 엔진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[25]。
6. 운용 기종
가와사키 P-1 해상초계기에 F7-10 엔진이 탑재된다.
참조
[1]
간행물
XF7-10 development reference paper
https://www.mod.go.j[...]
TRDI Defense Technology Symposium 2007
[2]
간행물
XF7-10 PFRT reference paper
https://www.mod.go.j[...]
TRDI Defense Technology Symposium 2007
[3]
문서
XF7-10 development reference paper
[4]
문서
XF7-10 PFRT reference paper
[5]
문서
XF7-10 development reference paper
[6]
웹사이트
XP-1's inspection report by city council member
http://www.tsunashim[...]
2009-02-13
[7]
웹사이트
GE - Cowl Opening Systems
http://www.geaviatio[...]
GE Aviation Systems
2009-01-21
[8]
웹사이트
政策評価書(要旨)-高バイパス比エンジン技術の研究
https://warp.da.ndl.[...]
防衛省技術研究本部
2020-05-03
[9]
간행물
XF7-10 development reference paper
https://web.archive.[...]
TRDI Defense Technology Symposium 2007
[10]
간행물
XF7-10 PFRT reference paper
https://web.archive.[...]
TRDI Defense Technology Symposium 2007
[11]
논문
F7-10 エンジンの設計
https://www.ihi.co.j[...]
2017
[12]
웹사이트
XF7-10エンジンの環境氷結試験
https://web.archive.[...]
[13]
웹사이트
次期固定哨戒機用エンジン(XF7-10)制御・補機試験の概要
https://web.archive.[...]
防衛省技術研究本部
2020-03-19
[14]
웹사이트
XF7-10エンジン海外高空試験
https://web.archive.[...]
[15]
웹사이트
次期固定翼哨戒機用エンジン(XF7-10)QT全体計画と高空試験概要
https://web.archive.[...]
防衛省技術研究本部
2020-03-19
[16]
논문
高バイパス比ターボファンエンジンについて
http://www.gtsj.org/[...]
2012-05
[17]
뉴스
海自哨戒機トラブル、エンジンの設計変更が原因
http://www.asahi.com[...]
2013-09-27
[18]
서적
航空装備の最新技術
一般社団法人防衛技術協会
2016-12-01
[19]
문서
XF7-10 development reference paper
[20]
웹사이트
11月20日 XP1視察
https://web.archive.[...]
[21]
문서
XF7-10 PFRT reference paper
[22]
웹사이트
防衛装備庁F7-10エンジンの導入について
https://www.aero.jax[...]
[23]
웹사이트
戦略的次世代航空機研究開発ビジョン
https://www.mext.go.[...]
[24]
웹사이트
国立研究開発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における平成27年度に係る業務の実績概要
https://www.meti.go.[...]
[25]
웹사이트
【中間評価補足資料】コアエンジン技術の研究開発について
https://www.jaxa.jp/[...]
JAXA
2020-09-01
[26]
웹사이트
F7-GTの実用化に関する技術調査の契約希望者募集要項
https://web.archive.[...]
[27]
웹사이트
固定翼哨戒機「P-1」用「F7-IHI-10」ターボファン・エンジンを初出荷 ~22年ぶりの国産開発による量産エンジンの出荷~
https://www.ihi.co.j[...]
[28]
논문
高バイパス比ターボファンエンジンについて
http://www.gtsj.org/[...]
2012-05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